안식일과 주일에 관한 소논문 이광호 교수) 안식일과 주일 - 언약적 의미와 영광의 실천적 주일 - 1. 서론 2. 안식의 언약적 의미 3. 안식일과 이스라엘 민족 4. 안식일과 주일: 연관성과 단절성의 문제 5. 교회와 주일 6. 결론 1. 서론 최근 안식일과 주일에 관한 논의가 관심을 끌고 있다. 구약의 안식일은 신약의 주일과 .. 기독교자료 2015.08.09
[스크랩] 주여 삼창에 대하여 주여 삼창에 대하여 1. "주여!" 삼창의 유래 중국에서 제사 지낼 때의 "만세(萬歲)!" 삼창(三唱)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의식에 사용되어 왔으며, 이를 새벽 기도할 때에 부흥사들이 원용하여 "주여!" 삼창이 이어져 왔다는 가능성을 기록된 곳이 있으나, 신뢰할 만한 문서 기록으로 남겨진 것.. 기독교자료 2015.08.02
[스크랩] 성경 각 권의 주제 성경 각 권의 주제 성경 분 류 책 별 주 제 구약 율법서 창세기 창조하시고, 선택하시는 하나님 출애굽기 구원자 하나님 레위기 거룩하신 하나님 민수기 인도하시는 하나님 신명기 신실하신 하나님 역사서 여호수아 땅을 주시는 하나님 사사기 사사가 되셔야 할 하나님 룻기 고엘되신 하.. 기독교자료 2015.07.07
바울의 생애ㅡ연표와 지도 * 주요일지 - 그리스도의 죽음, 승천 AD 30년 - 바울의 회심 35년(?) - 제 1차 예루살렘 방문(갈 1:18) 37년 - 다소 체재 37~ 43년 - 제 2차 예루살렘 방문(행 11:30) 44년 - 제 1차 전도여행 44 ~ 48(?)년 - 예루살렘 총회 50년 - 제 2차 전도여행 51~ 53년 - 데살로니가 전˙후서 52년 - 제 3차 전도여행 54 ~ 58년 -.. 기독교자료 2015.06.21
칼빈주의 a) 칼빈의 생애(1509-1564) - 칼빈(Jean Cauvin, John Calvin)은 1509년 7월 10일 북 프랑스 노용(Noyon)에서 주교의 재정고문인 G rard Cauvin과 그의 부인 Jeanne Lefranc의 아들로 태어났다. - 노용에 있는 Coll ge des Cappettes에서 라틴어를 공부하고 1523년 (추측하건대) Coll ge de la Marche와 Coll ge Montaigu에서 철학을 공.. 기독교자료 2015.06.21
알미니안주의와 칼빈주의의 비교 알미니안주의 5대 교리 칼빈주의 5대 교리 1. 자유의지 혹은 인간의 능력 2. 조건적 선택 3. 보편적 구속 혹은 일반적 속죄 4. 성령은 실제로 거스려질 수 있다. 5. 은총으로부터의 타락 1. 전적 무능 혹은 전적 부패 2. 무조건적 선택 3. 특별한 구속 혹은 제한적 속죄 4. 성령의 효과있는 부르.. 기독교자료 2015.06.09
예수님은 어느나라 말을 쓰셨는가? 이상훈 교수의 << 예 수 의 언 어 >> His Mother Tongue 예 수께서 기도 하실때에 사용한 언어가 아람어(aramaic)이며 예수는 이 언어로 설교하시고 교훈하였다. 복음서중 원초적 복음이라고 할 수 있는 마가복음이 이 아람어의 몇 가지를 보존하고 있다. "아바"(막. 14:36,참조,롬.8:15, 갈.4:6).. 기독교자료 2015.06.09
유대인이 예수를 믿지 않는 이유 첫째 이유 - 유대인의 메시야관 ; 우리 거듭난 성도들은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메시야로 믿는다. 한국말로 구세주, 구주로 번역될 수 있는 메시야는 영어로는 ‘머싸이어’ (Messiah), 히브리 말로는 ‘마쉬아흐’ 또는 메시아 (Mashiah) 이며 헬라말로 그리스도 (Christ) 인데, 이는 ‘기름부은.. 기독교자료 2015.06.09
마카비(Maccabee) 전쟁(167-164년 B.C.E.) ① 마카비 전쟁의 배경 안디오커스 4세는 이집트 원정을 떠나기 전에 먼저 유다의 헬라화 정책을 발표하였다. 보수적인 사독 계열의 대제사장 오니아드(Oniads) 3세의 동생 야손(Jason)은 그의 형과는 달리 매우 진보적이고 헬레니즘적인 성향을 가진 자였는데, 그는 왕에게 헬라화를 위한 일.. 기독교자료 2015.04.18
바빌로니아 포로시대(586~538 B,C,E) ① 성전 멸망과 바빌로니아 유배(류배) 721년 B.C.E. 북이스라엘이 앗시리아로부터 멸망 당한 후 남유다는 여러 왕들의 개혁과 발전 의지를 통하여 독립을 계속 유지해 왔다. 드러나 약소 국가인 유다는 강대국인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사이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 기독교자료 201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