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

성탄절 관련 예화 모음

안명애 2018. 11. 20. 08:04

성탄절 축제가 언제부터 시작 되었을까?



기독교의 성립후 처음 300년 동안에는 성탄절 축제가 없었다.
왜냐하면 온 교회의 관심이 오직 십자가에 못박히시고 부활 승천하신
왕되신 예수 그리스도에만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교회는 성육신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기독교사상가들이
주님의 인성에대하여 좀 더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때부터교회도 성육신의 심오한 의미에눈을 돌리게 되었다.
특별히 동방의 기독교인들이 사람의 몸으로 오신
하나님의 불가사의한 사건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였다.
역사적 예수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교회는 성탄절을 기쁨과 경이로써축하하기 시작하였다.


오늘 우리에게 알려진 성탄절에 대한 기록 중의 최초는
4세기 초기의 이집트 파피루스에 남은 기록이다.
이 파피루스에는 수많은 손자국들이 찍혀 있는데,
이것은 이미 그 파피루스가 많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파피루스는 4세기 초의 성탄절이
1월 6일 저녁부터 7일까지 축하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왜 1월 6일을성탄절로 지냈을까?
2세기에 있었던 이단 분파인 알렉산드리아의 영지주의 추종자들은
예수님께서 세례받으신 날(1월 6일 또는 10일)을 축제일로 지켰다.
그들은 예수께서 세례를 통하여 신성의 그리스도가 되었다고 믿기 때문이었다.
또한 1월 5-6일 밤엔 나일강 물이 놀라운 기적의 힘을갖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이 날을에피파니(Epiphany) 또는 `현현'이라고 불렀다.
한편 정통적인 기독교인들은 예수께서 세례를 통해서
그리스도가 되었다는 것을 믿지는 않았지만 그 중요성은 인식하고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예수의 세례 받으심과 탄생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역시 1월 6일을 축제일로 선택했다.
이 에피파니 축제는 오랫동안 팔레스틴에서 장엄하게 행해졌다.
성탄절이 1월 6일에서 12월 25일로 바뀐 것은 언제부터인가? 그리고 왜 바뀌게되었나?
가장 유력한 가설은 AD 325년에서 354년 사이에 로마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AD 336년에는 그리스도의 성탄일이 12월 25일로 증명되고
모두가그것을 신봉하도록 공포되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특히 12월 25일은 정복되지 않는 태양신을 경배하는
이교도들의 축제일이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기독교 지도자들은 이빛의 축제가
세상의 빛되신 예수 그리스도께 드려지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했다.
성암부로스는 `그리스도는 우리의 새로운태양'이라고 말했다.
한동안은 태양의 축제를 그리스도의 성탄절에 통합한 것이많은 혼란을 주었다.
그리고 많은 반대도 있었다.성
탄절을 12월 25일로 확정지은 것은 크리소스톰에 의해서였다.



성탄절을 기다리는 마음



미국 워싱턴대학의 토머스 홈스 교수가
사람들의 마음과 생활에 변화를 가져오는 때를 조사했더니
가장 큰 변화가 오는 것은 배우자가 죽었을 때였다.
이 경우를 100으로 하고 그밖의 다른 경우들을 점수화했는데
이혼의 경우가 73,임신했을 때가 40,집을 옮기거나 고쳤을 때가 25였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크리스마스가 무려 12나 된다는 것이었다.



매년 맞이하는 크리스마스는 마침 연말과 겹쳐
무엇인가 마음의 변화를 가져 오기 쉬운 때이다.
아직도 이 땅에는 예수 없는 크리스마스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그러나 만일 크리스마스를 즐거운 파티 기분으로만 넘긴다면
그것은 예수 탄생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고
나 자신에게도 긍정적인 변화를 주지 못하는 허망한 시간이 되고 말 것이다.
낮은데로 오신 그리스도의 성탄하신 깊고 높은 뜻을 헤아려
그 사랑을 실천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성탄절에 우리 모두의 마음이 작은 구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천국에서 온 성탄 카드



지병인 암으로 투병생활을 하고 있던 한 고위 성직자가 죽음을 앞두고 몰래 비서를 불렀다.
그리고는 자필로 쓴 한 장의 카드를 내밀었다.
그 카드에는 이렇게 쓰여져 있었다.


“사랑하는 친구들, 행복한 성탄을 맞이하기를 진심으로 축원합니다.
이번 성탄은 내게 각별하다는 느낌입니다.
이 땅에서 맞는 마지막 성탄일 것 같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실이 슬프기도 하지만 다가올 세상에서 주님과 더욱
친밀히 일치될 것을 생각하면 기쁘고 기대되기도 합니다 ...
내가 본향에로 마지막 여행을 시작할 때 여러분을 마음 속에 간직하고 갈 것입니다.
여러분의 우정과 친절에 깊이 감사 드립니다.”


그는 비서에게 자신이 죽고 난 다음에 이 카드를
자신과 친분이 있는 모든 이들에게 부칠 것을 부탁했다.
그리고 얼마 후 그는 세상을 떠났다.
1996년 11월 14일 6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미국의 조셉 버나딘(미국 시카고 대교구장) 추기경이었다.


성탄 카드는 그가 임종한 후 수 시간이 지나 우체국으로 보내졌고,
세계 각처의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카드를 받았다.
임종을 며칠 앞둔 11월 7일 미연방 대법원에
자살 방조 합법화를 거부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발송하고,
임종 전날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및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마지막 전화통화를 하기도 한 그가 마지막 성탄 카드를 자필로 써서
자신을 아는 많은 사람들에게 보냈다는 사실은
고인이 자신의 죽음을 얼마나 철저히 준비했는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버나딘 추기경의 비서 겸 운전기사인 벨로 몬시뇰에 따르면,
고인은 이미 지난 9월에 자신의 장례식 준비를 마쳤을 정도였다.
버나딘 추기경은 당시 로마에서 미국으로 돌아오는 항공기 안에서 벨로 몬시뇰에게
장례식 계획표를 보여주었고, 몬시뇰은 그 계획표에
자신이 강론자로 배정되어 있는 것을 보고 울음을 터뜨리자 이렇게 위로했다고 한다.


“괜찮다네, 나 자신도 울었으니까.”


늘 열려있는 사람으로 살았던 그를 조문하기 위해 10만여 명의 인파가 몰렸고,
장례식 다음날 시카고 트리뷴 지는 장례식 강론을 했던 벨로 몬시뇰의 말을 인용,
1면 기사의 제목을 ‘추기경, 고향으로 돌아오다’라고 달았다.
죽음을 대하는 고인의 자세를 단적으로 보여준 백미였다.



크리스마스때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이름이 산타클로스다.


그는 서기 270년에 소아시아지방 리키아의 파타라에서 출생했고
후에 미라의 대 주교를 역임한 바 있는 니콜라스(270-350)라는 실재 인물이다.
그가 실제 자신의 이름과 전혀 상관없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은 이렇다.


그의 이름은 라틴어로 상투스 리콜라우스라고 불렸고 이를 네덜란드 사람들은
산 니콜라스라고 했는데 특히 그들 중에서도 아메리카 신 대륙에 이주한 사람들은
산테 클로스라 불렀다고 한다.
이 발음이 그대로 미국화 하면서 오늘의 산타 클로스가 된 것이다.


원래 니콜라스는 남달리 베푸는 마음이 많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카톨릭에서는 그를 성자로 받들었고 아울러 어린 아이들의 수호 성인이라고
인정하면서 크리스마스때 착한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가져다 준다는 설이 생긴 것이다.


4세기경 성 니꼴라스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대단한 자선가였다.
어느해 12월 23일 밤 거리를 걷고 있다가 구슬픈 울음소리를 듣고
창틈으로 들여다 보니 한 노인이 세 딸과 함께 너무도 가난함에 서러워 울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몰래 금화 몇닢을 넣어주고는 사라졌다.


그후 그는 계속해서 금화를 던져 주었는데 마침내 그 사실이 드러났을 때
그는 거침없이 이렇게 말했다.
"아무것도 내게 감사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나를 시켜서 그렇게 따랐을 뿐이다"라고 말했다.


그후 그는 매년 12월 24일을 정하여 그날에는 커다란 자루에 어린아이들이
좋아할 듯한 물건을 넣고는 거리를 누비고 다녔는데 이것이 곧 산타크로스의 기원이다.
그러나 믿는 사람들을 수호해 주는 존재는 그렇게 자비심이 많은 사람이
죽어서 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천사를 시켜 하나님께서 우리를 보호하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믿는 자들이 예수님의 이름을 잊어버린 채 아무 상관도 없는
산타클로스 이름을 부르는 것은 바로 이땅의 사람들에게
예수의 이름을 잊게 하고자 하는 사탄의 전략임이 분명함을 알아야 한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예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판에 관한 예화 모음  (0) 2020.02.08
죄의 유혹  (0) 2019.02.08
열매에 관한 예화 모음  (0) 2018.08.07
전도에 대한 예화  (0) 2018.07.16
다툼의 예화  (0) 2016.05.13